부동산 종합공부란? 디지털로 통합된 땅과 건물 정보의 모든 것

부동산 종합공부란? 디지털 시대에 부동산 정보를 한눈에 보는 시스템 요즘은 정부24나 카카오 인증 앱 등을 통해 집에서 몇 번의 클릭만으로도 부동산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거처럼 시청, 구청을 찾아가 서류를 떼야만 했던 시대와는 사뭇 다릅니다. 이러한 변화를 가능케 한 제도적 기반이 바로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9의3 에 등장하는 부동산 종합공부 시스템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동산 종합공부'라는 개념이 무엇인지, 왜 이것이 도입되었는지, 또 부동산 정보의 디지털 전환이 우리 실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쉽게 풀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부동산 종합공부란 무엇인가요? 공간정보법 제2조 제19의3 은 부동산 종합공부를 이렇게 정의합니다: "부동산 종합공부: 필지 및 건축물에 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전산화하여 등록·관리하는 공부" 여기서 '공부(公簿)'란, 정부나 공공기관이 공식적으로 보관·관리하는 장부나 문서를 말합니다. 즉, '부동산 종합공부'는 토지(필지)와 건물에 관한 모든 행정정보를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전산화하여 관리 하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토지에 대한 정보는 국토교통부와 각 지자체가 관리하는 '지적공부'에, 건물에 대한 정보는 행정안전부와 건축과 등에서 관리하는 '건축물대장'에 따로따로 존재했습니다. 또한 소유권 및 권리관계는 법원 등기소의 '등기부등본'에서 별도로 확인해야 했죠. 이처럼 정보가 흩어져 있어 시민들은 각각의 기관을 찾아다니며 서류를 발급받아야 했고, 행정기관 간에도 정보 공유가 원활하지 않아 처리 지연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부동산 종합공부 는 이러한 정보들을 하나로 통합해, 하나의 화면에서 '땅의 정보 + 건물 정보 + 소유권·권리 정보'까지 함께 확인 할 수 있도록 만든 시스템입니다. 왜 종합공부가 필요한가요? (도입 배경) 이 제도가 등장한 가장 큰 이유는 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