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시장, 거품일까 기회일까? 향후 변수 총정리
서울 아파트 시장, 거품이냐 기회냐… 향후 변수 총정리 다시 뜨거워진 서울 아파트, 거품 논란의 시작 2025년 하반기 들어 서울 아파트 시장은 거래량과 가격이 동시에 오르며 ‘반등 국면’에 진입했습니다. 하지만 이 현상을 두고 시장에서는 “이제 다시 상승장이 시작됐다”는 낙관론과 “결국 거품이 터질 수 있다”는 비관론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과연 지금의 시장은 기회일까요, 아니면 위험일까요? 변수 1: 금리와 환율 서울 아파트 시장을 좌우하는 가장 큰 거시 변수는 금리와 환율입니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하거나 그 기대가 확산되면, 한국은행 역시 완화적 기조를 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곧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하로 이어져 실수요자의 자금조달 여력을 높여줍니다. 반대로 환율이 급등해 원화 가치가 불안정해지면, 외국인 투자자뿐 아니라 국내 투자자들도 안전자산 선호가 강해지면서 자금 흐름이 변할 수 있습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달러 강세와 환율 불안은 한국 외환시장을 뒤흔들며 은행 대출이 급격히 위축되었고, 강남권을 포함한 주요 아파트 단지들의 거래가 사실상 멈춰 서며 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당시 언론에는 ‘거래 절벽’과 ‘미분양 적체’라는 표현이 매일같이 등장했고, 집을 산 사람들은 대출 상환에 허덕이며 고통을 호소했습니다. 반대로 2020년대 초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초저금리와 안정적인 환율 환경에서는 전혀 다른 양상이 펼쳐졌습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대까지 내려가자 2030세대의 ‘영끌’ 매수세가 본격화되었고, 강북의 신축 아파트부터 한강변 인기 단지까지 신고가 행렬이 이어졌습니다. 여기에 더해 2014~2015년 저유가와 글로벌 유동성 확대 시기에도 비슷하게 서울 집값이 반등하는 흐름을 보이며, 금리·환율·글로벌 자금 흐름이 한국 부동산 시장의 온도 조절 장치처럼 작용해 왔음을 보여줍니다. 변수 2: 공급과 정책 실행력 6.27 대출 규제, 9.7 공급 대책,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시즌2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