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9월 거래량 6천 건? 한강벨트 집값 상승 이유와 전망

서울 아파트 시장, 다시 달아오르는 분위기 2025년 9월, 서울 아파트 시장은 거래량과 가격 모두에서 주목할 만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과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9월 신고된 거래량은 이미 3,100~3,400건을 넘어섰으며, 최종 집계가 마무리되면 5,000~6,000건에 이를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이는 8월 거래량(약 4,100건)을 크게 웃도는 수치로, 대출 규제 이후 한동안 움츠려 들었던 매수세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어디가 가장 많이 올랐나? 상승세는 특히 한강벨트 지역 에 집중되었습니다. 성동구는 0.59% 오르며 1위를 기록했고, 마포구(0.43%), 송파구(0.35%), 강동구(0.31%)가 뒤를 이었습니다. 광진·양천·영등포 등도 동반 상승세를 보이며, 서울 25개 구 중 도봉구를 제외한 24개 구가 모두 오름세를 나타냈습니다. 일부 지역은 연환산으로 30% 가까운 폭등세까지 포착되고 있습니다. 왜 다시 오르는 걸까? 전문가들은 이번 반등의 배경으로 정책 발표와 시장 심리 를 함께 꼽습니다. 구체적으로는 ① 6.27 대출 규제가 거래 여력을 제한해 ‘무리한 확장’은 줄였지만(대출 최대 6억, 다주택자 주담대 금지 등), ② 9.7 공급 대책이 장기 착공 중심으로 제시되면서 당장 입주 물량이 늘지 않는다는 인식이 퍼졌고, ③ 토지거래허가제의 추가 확대가 당장은 없다는 신호가 나오자 자금이 선호 지역으로 모이는 ‘풍선효과’가 나타났다는 해석입니다. 예를 들어 12억 원 내외의 한강벨트 84㎡ 물건을 살 때, 규제 환경에서는 대출로 최대 6억 원만 활용할 수 있어 현금 여력이 있는 실수요·갈아타기 수요가 상대적으로 앞서게 됩니다. 이 수요가 역세권·대단지·학군·조망 등 ‘조건이 좋은’ 곳에 몰리면서 해당 지역은 신고가가 빠르게 쌓입니다. 여기서 심리가 더해집니다. ‘추가 규제가 나오기 전에 사야 한다’,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더 오른다’ 같은 기대가 형성되면 대기 수요가...